한국ESG기준원(KCGS)은 최근 리포트를 통해 ChatGPT 기반의 TCFD 공시 분석용 프롬프트
템플릿을 소개했습니다. 이 프롬프트는 'Governance', 'Strategy', 'Risk Management', 'Metrics
& Targets'라는 TCFD의 네 가지 영역별로 평가 기준을 세분화하고, 단순 키워드 매칭이 아닌
문맥 기반의 해석을 유도하는 구조로 설계돼 있는데요.📄
한국ESG데이터는 이를 바탕으로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프롬프트를 재구성해보았습니다.🛠️
예를 들어, 이사회 참여도 분석 시 단순 언급 여부를 확인하는 데 그치지 않고, 어떤 의사결정자
가 어떤 행동을 했으며, 그것이 기후 리스크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정성적으로 판단합니다.
📌AI는 이 과정을 통해 요약, 근거, 신뢰도, 개선 제안까지 자동으로 제시하게 됩니다.
이제 ESG 실무자는 보고서를 업로드하고 프롬프트만 적용하면,
복잡한 공시 분석을 구조화된 텍스트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.📊
생성형 AI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결합은 ESG 실무의 생산성과 정확도를 모두 높여주는
강력한 도구가 되고 있습니다.🚀